
과학을 지향하는 학문인 심리학에서 정신분석 이론은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었습니다. 특히 현대 심리학은 과학과 많이 접목되어 있는 만큼 정신분석이론은 심리학에 범주에 속할 수 없다고 현대 심리학자들은 주장했습니다. 과학이라면 A=B, B=C라는 식의 단순한 논리적, 이성적, 합리적인 접근이 있어야 하는데 정신분석이론은 그렇지 않다고 말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정신분석이론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가 주장한 이론입니다. 인간의 모든 행동과 느낌, 생각은 무의식 속 어떠한 원인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사람의 인식 수준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 세 가지로 나누었는데 의식은 개개인이 의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 어떤 순간 개인에 의해 느껴지는 모든 감각과 경험을 말합니다.
전의식은 바로 그 순간 의식되지는 않지만, 주의를 기울여 노력한다면 떠오르는 기억과 같은 것입니다. 예를 들면 평소에는 친구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지 않고 있다가 필요한 순간 전화를 걸어야 할때 생각나는 것과 같은 순간들을 말합니다.
무의식은 생생한 욕구나 충동들이 들어있는 마음 내면의 깊은 곳으로, 전혀 의식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행동과 생각 정서에 결정적인 영향과 힘을 발휘하는 것을 말합니다. 싫어하는 사람 앞에서 겉으로는 티 내지 않고 숨기는 거처럼 말이죠.
내면의 무의식
프로이트는 우리의 마음은 물질과 달라서 분석 할 수록 통합하는 성질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과거와 무의식이 좋아서 파헤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과거에 묶여 있기 때문에 먼저 그것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분석학에서는 먼저 과거의 경험과 그 안에서 만들어진 내면의 무의식을 살펴보라고 합니다. 무의식은 억압하려 할수록 떠오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사랑하는 연인과 헤어지게 되면 연인을 잊으려고 노력하지만 더욱더 생각나는 거처럼 당장 회피하려고 하지만 나중에는 우울이나, 불안 정신장애까지도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무의식은 결코 완벽하게 억압되지 않는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초기 정신분석 치료는 '정화'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억압된 감정을 표출하고 억눌려있던 무의식을 표면화하게 되면 더 이상 정신장애로 표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정화를 통한 치료는 신체마비나 감각기관 이상의 증상을 사라지게 만들기도 했고,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해소시키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장기화된 성격의 문제나 지속적인 대인관계의 문제는 한두 번의 정화 치료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 지나친 완벽주의, 지나친 나르시시즘 때문에 타인을 무시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이 되었습니다.
정신분석이론의 발전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정화로는 치료가 되지 않는 환자들을 자주 접하게 되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한단계 더 발전합니다.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누었던 마음을 성격의 관점으로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구분하게 된 것입니다.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아주 넓은 6차선 도로에서 몇 발자국만 더 가면 횡단보도가 보이지만, 지나다니는 차가 없어서 무단횡단을 할까 말까 갈등을 하고 있을 때에는 원초아와 초자아의 갈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둘을 중재하는 역할을 자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조금 더 사회규범을 존중하는 사람이라면 조용한 도로라도 무단횡단하지 않고 횡단보도로 가서 신호를 지키며 도로를 건널 것입니다. 이것이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마음의 작동원리입니다. 너무나도 강한 원초아와 초자아의 충돌로 자아가 힘을 잃고 균형을 잃으면 정신장애가 생긴다고 합니다.
지나치게 욕구에 충실한 삶, 말과 행동에 일관성이 떨어지거나, 지나친 자기비하를 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벗어나 건강한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자아가 힘이 있어야 두 마음이 균형을 잘 이룰 수 있습니다. 과학의 기준에서 정신분석 이론은 많은 비판을 받지만, 사람의 마음을 꼭 과학으로만 증명해야 하는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사람은 너무나 유기체적인 존재이며 수많은 관계를 맺고 살고 있고, 또한 개개인마다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과학적인 통계, 수치로도 설명할 수 없는 특별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불안으로 부터 벗어나기 위한 보호 장치 방어 기제 (0) | 2022.10.25 |
|---|---|
| 임상심리학, 당신을 이해하고 싶어요. (0) | 2022.08.05 |
| 성격심리학-내 성격, 그것이 알고싶다. (0) | 2022.06.17 |
| 발달심리학-나의 발달 그것이 나의 역사다. (0) | 2022.06.14 |
| 심리학 분야중 학습심리학에 대하여-(2)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