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0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좋겠네-자기 불일치 이론.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좋겠네-자기 불일치 이론.  살아가면서 한번쯤 머릿속으로 완벽한 내 모습을 꿈꿔 본 적이 있나요?우리는 마음속으로 이상적인 나의 모습을 만들어 놓고 그 기준에 도달하려 노력하려고 합니다.가령 미디어 속의 연예인이나 유명 인플루언서를 보면서 그들의 삶을 따라 하기도 하고우상처럼 여기며 닮아가게끔 나 자신을 채찍질 해 보기도 합니다. '나는 이런사람이야'하고 정의할 수 있는 특성의 총체를 '자기'라고 합니다.이 자기의 종류는 다양한데 캐나다의 심리학자 토리히긴스는 우리의 '자기'가 현실적 자기(actual self), 이상적 자기(ideal self), 당위적 자기(ought self)로 나뉘는자기 불일치 이론을 주장했습니다. 현실적 자기는 그야말로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입니다... 2024. 6. 8.
모든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알프레드 아들러 알프레드 아들러 오스트리아 빈 출신으로 의사, 정신의학자, 사회주의자이자 심리학자였다. 개인심리학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생애 어렸을 때는 병약했으며 달리는 수레에 두 번이나 치인 적이 있었고 홍역으로 죽을 뻔한 적도 있었다. 빈 대학교 의학부의 선배이기도 한 프로이트의 강연에 매료되어 그의 가르침 아래에서 빈 정신분석학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이후 프로이트의 저서인 꿈의 해석에 대한 내용을 평가했으나, 1912년 학회에서 탈퇴하여 개인 심리학회를 창시했다. 프로이트의 범성욕설에 반대한 것인데, 덕분에 성에 대해 보수적인 교육자, 종교인들에게 아들러의 정신분석은 환영을 받았다. 프로이트의 원인론적 분석에서 탈피하여 목적록전 분석을 기반으로 자신의 학설을 세웠다. 대표적인 것이 개인심리학이며, 이.. 2022. 11. 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개인심리학은 오스트리아의 정신의학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창시한 심리학이다. 개인 심리학은 개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이다. 창시자의 이름을 따서 종종 아들러 심리학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요 개념 개인은 나누어질 수 없는 전체로서 사회 안에서 자신이 설장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는 기본적 전제를 가지고 아들러는 개인심리학을 개발하였다. 그는 인간 행동의 원인보다. 행동의 목적을 강조했고 인간은 열등감을 극복하여 자기완성을 이뤄야 함을 강조하였다. 개인심리학은 아들러의 초기 경험에 의해 개발이 되었다. 아들러는 정신질환자들 보다 일반 대중에 대한 관심이 많았는데, 무의식보다 현식의 주관적 지각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특히 인간은 일생동안 사회 속에서 사회적 관심을 얻기 위한 노력을 끊.. 2022. 11. 8.
심리검사 심리검사란 능력, 성격, 흥미, 태도 등과 같은 심리적 구성개념을 수치화 하기 위해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말한다. 한편 심리검사는 개인 또는 집단의 심리적 특성이나 이슈를 측정하는 도구로 심리평가 도구로 볼수도 있다. 지능검사, 성격검사 등이있다. 심리검사의 정의 심리적 구성개념 심리적 구성개념이란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개념으로서 직접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키나 몸무게 같은 물리적 속성은 줄자나 체중계를 사용해 직접 그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의 '성실성'이나 '외향성'등의 심리적인 속성들은 추상적인 것으로서,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 심리학자들은 물리적 속성과 심리적 속성을 구분하여 심리적 속성을 심리적 '구성개념'이라고 부르며 '조작적 저으이'를 사용한다. 심리.. 2022. 11. 1.
심리요법 심리요법은 심리치료도는 심리상담으로도 불린다. 심리적 문제가 있는 대상에게 심리학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을 돕는 치료방법이다. 심리학적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내담자와 타인 간의 사고, 감정, 행동, 대인관계에 대한 갈등 사이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탐색하도록 안내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이해하고 변화하도록 돕는 직무를 말한다. 심리치료의 기법 현재 심리 전문가들은 매우 다양한 치료 방법을 사용하고있다. 정서적 지지, 설득, 조건 형성 절차 이완 훈련, 역할 연기, 약물 치료, 바이오 피드백, 집단 치료 등이 있다. 치료 방법의 형태는 약 250가지 이상이 있다. 하지만 치료에 대한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통찰 치료, 행동 치료, 생물의학적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통찰 기법 .. 2022. 10. 31.
상황이 행동을 결정한다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은 사회적 상황 요인이 개인의 행동, 생각, 느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과 공동체 간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학문의 학자들은 보통 사회학자로 불리기도 한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주어진 방식으로 행동을 전개시키는 요인들을 조사한다. 그들은 특정한 행동, 사고, 그리고 감정이 일어나는 조건들을 연구한다. 사회심리학은 이러한 감정, 생각, 신념, 의도 및 목표가 인지적으로 구성되는 방법과 이러한 심리적 반응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주고받는지 관심이 있다. 동조 동조란 집단의 압력 하에서 개인이 집단이 기대하는 바대로 생각이나 행동을 바꾸는 것을 일컫는다. 사회적 영향의 유형 정보적 사회영.. 2022. 10. 26.